트럼프의 관세전쟁시작! 나라 및 시간별 관세정책 정리!

트럼프의 관세정책은 ‘미국 우선주의(America First)’를 실현하기 위한 경제 전략 중 하나였습니다. 그는 무역적자를 문제로 보고, 미국 기업 보호와 일자리 창출을 위해 수입 제품에 높은 관세를 부과했습니다.

여러나라의 관세비교를 확인해보시죠.

1. 중국 🇨🇳

가장 큰 타겟이었던 국가입니다.

  • 2018~2019년: 총 5,500억 달러에 이르는 중국산 제품에 10~25% 관세를 단계적으로 부과
  • 관세 대상 품목: 가전, 전자제품, 의류, 철강, 화학제품 등 광범위
  • 결과: 미·중 무역전쟁 격화 → 중국도 미국산 농산물, 자동차 등에 보복 관세 부과

2. 유럽연합(EU) 🇪🇺

철강과 알루미늄 제품이 주요 타깃이었습니다.

  • 2018년 철강 25%, 알루미늄 10% 관세
  • 유럽의 항공기, 와인, 치즈 등에도 보복성 관세가 부과됨 (보잉-에어버스 분쟁 포함)
  • EU도 미국 제품(위스키, 오토바이, 청바지 등)에 맞대응 관세

3. 캐나다 & 멕시코 🇨🇦🇲🇽

미국과 북미자유무역협정(NAFTA)을 맺은 이웃 국가들.

  • 철강·알루미늄 관세는 예외 없이 적용
  • 협상 결과로 새로운 협정인 USMCA(미국-멕시코-캐나다 협정) 체결
  • USMCA로 일정 부분 완화됐지만 초기에는 긴장이 고조됨

4. 한국 🇰🇷

초기에는 철강·알루미늄 관세 부과 대상이었지만, 협상 통해 일부 면제를 받음.

  • 철강 수출 쿼터제 도입 조건으로 관세 면제
  • 자동차 분야에서는 미국산 차량에 대한 한국의 수입 기준 완화 요구 등 양자 협상 진행
  • 2018년 한미 FTA 재협상으로 타 국가보다 빠르게 무역 갈등 최소화

5. 일본 🇯🇵

  • 철강·알루미늄에 동일하게 25%, 10% 관세 부과
  • 자동차 관세 부과 위협도 있었으나 실제 적용은 보류
  • 대신 미·일 무역협정 체결을 통해 일부 농산물·산업 제품에 대한 시장 개방 조치 요구

요약 표 (한눈에 보기)

국가주요 품목관세율비고
중국 전반적 수입품 10~25% 미중 무역전쟁의 핵심 대상
EU 철강·알루미늄 외 10~25% + 보복 관세 와인·치즈·항공기 등에도 관세 확대
캐나다/멕시코 철강·알루미늄 25%, 10% USMCA 체결로 일부 갈등 해소
한국 철강·자동차 쿼터제 협상으로 면제 한미 FTA 재협상 통해 타협
일본 철강·자동차 철강관세, 자동차는 유예 미·일 협정 체결로 갈등 조정